다른이름 : 殭蠶(강잠),白강蠶(백강잠),蠶蟲(잠충),天蟲(천충) 약 맛 : 신(辛) 함(鹹) 귀 경 : 간(肝) 폐(肺) 주 치 : 驚癎, 口眼喎斜, 金瘡, 丹毒, 痰核, 頭痛, 頭風, 瘰癧, 梅核氣, 目赤腫痛, 無名腫毒, 聲音嘶啞, 小兒痰熱急驚, 迎風流淚, 乳癰, 咽喉腫痛, 中風, 破傷風, 風熱頭痛, 風疹瘙痒, 胸痺 약용부위 : 전체 금 기 : 心虛로 因해 神昏이 不寧한 病症과 血虛로 經絡이 痙急한 病症에는 服用을 忌한다. 효 능 : 去風止痛止痒, 熄風止痙, 化痰散結 주치증상 : "<本經(본경)>: 소아의 경련성 질환, 밤에 우는 증상을 치료하며 기생충을 죽인다. 검게 태운 것은 顔色(안색)을 좋게 하고 남성의 음부가 가려운 증상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 여성의 崩漏(붕루), 피가 비치는 帶下(대하), 출산 후 동반되는 통증을 치료하며 태운 재는 모든 부스럼과 흉터를 치료한다. 가루를 내어 뿌리가 깊은 종기의 瘡口(창구)에 막아두면 종기의 뿌리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매우 좋다. <藥性(약성)> : 이를 악물고 있으면서 땀을 흘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白殭蠶(백강잠)과 옷에 붙어있는 좀 벌레 그리고 매의 똥에서 흰색 부분을 같은 양을 취하여 사용하면 부스럼을 치료하고 흉터를 없앤다. <日華字本草(일화자본초)> : 7마리를 가루로 만들어 술과 함께 복용하면 中風(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증상과 모든 風病(풍병)을 다스리고 소아의 이물질에 대한 과민반응, 남성의 음부소양증, 여성의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蘇頌(소송): 불에 쬐어 말린 것을 갈아서 생강즙과 섞어 대롱을 통해 입속에 넣으면 中風(중풍), 인후가 부어 숨이 끊어지려고 할 때 불어 넣자마자 낫는다. 李時珍(이시진) : 風痰(풍담)이 뭉친 것, 임파선염을 치료하고 완고한 두통, 풍치, 충치로 인한 통증, 風邪(풍사)로 인한 피부질환, 丹毒(단독)으로 가려운 증상, 痰(담)으로 인한 寒熱往來(한열왕래), 癥瘕(징가)를 치료한다. 여성의 젖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崩漏(붕루), 下血(하혈)을 치료하고 소아의 영양실조로 인한 피부병으로 피부가 침식되고 鱗屑(인설)이 생기는 증상, 모든 창칼에 의한 상처, 뿌리 깊은 종기, 痔疾(치질)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저절로 죽은 누에를 白殭蠶(백강잠)이라고 한다. 李時珍(이시진) : 蠶(잠)은 㬱(체)에서 나왔는데, 누에의 머리와 몸통의 모양을 본딴 것이다. 여기에 虫(충)자가 두 개 더해져서 그 모양이 복잡해졌다. 일반인들이 蚕(잠)으로도 쓰는데, 틀린 표현이다. 蚕(잠)의 음은 賟(전)과 같으며 지렁이를 뜻한다. 누에가 風病(풍병)이 들면 그 색이 저절로 하얗게 되기 때문에 白殭(백강)이라고 한다. 죽어서도 썩지 않는 것을 殭(강)이라고 한다. 다시 자라는 것을 原蠶(원잠)이라고 한다. 누에의 똥을 沙(사)라고 하고 껍질을 蛻(태)라고 한다. 고치(瓮(옹))를 繭(견)이라고 하고 번데기를 螝(회)라고 한다. 나방을 羅(라)라고 하고 누에가 처음 나왔을 때를 묘라고 하고 누에가 깔고 있는 종이를 連(연)이라고 한다." | |